hyeals study
코틀린 기초(3)-문자열 템플릿 본문
문자열 템플릿(string template)
위 코드에서는 name 이라는 변수를 선언하고 문자열 안에서 그 변수를 사용함.
이를 통해 코틀린에서도 변수를 문자열 리터럴안에서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음.
문자열 리터럴의 필요한 곳에 변수를 넣되 변수의 이름 앞에 $를 붙여야 함.
(이는 자바에서 ("Hello, " + name + "!")과 같은 기능을 함)
*문자열 리터럴: [(변수에 넣지 않은) + (값을 바꿀 수 없는)] 문자열
만약 $문자를 문자열에 넣고 싶으면
위와 같이 \를 앞에 붙여서 $를 이스케이프 시키면 됨.
문자열 템플릿안에 사용할 수 있는 대상은 변수로만 한정되지 않음
예를 들어
위와 같은 코드 처럼 배열의 첫 번째 원소 출력하는 복잡한 식도 ${}를 이용해서 문자열 템플릿 안에 넣을 수 있음
참고로 문자열 템플릿을 사용할 때 ${}처럼 중괄호로 감싸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음.
변수명은 영문이나 한글 모두 가능함.
따라서 문자열 템플릿 안에 $로 변수를 적을 때 변수명 바로 뒤에 한글을 붙여서 사용하면 컴파일러가 영문과 한글을 한거번에 식별자로 인식해서 에러(unresolved reference)를 발생시킴.
이 사실은 위의 코드를 보면 확인할 수 있음.
또한 좀 더 복잡한 식을 중괄호 안에 넣을 수 있음
위와 같은 코드의 실행이 가능함.
본 게시물은 "Kotlin IN ACTION"을 참고함.
'코틀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틀린 기초(6)- 제어 구조 [enum] (0) | 2020.02.03 |
---|---|
코틀린 기초(5)-클래스 & 프로퍼티 (0) | 2020.02.02 |
코틀린 기초(4)-함수 (0) | 2020.02.01 |
코틀린 기초(2)-변수 (0) | 2020.02.01 |
코틀린 기초 (2) | 2020.01.31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