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안드로이드 (26)
hyeals study
지난 포스팅에서 구글 TTS API를 안드로이드에 써보는 걸 시도해봤는데 여기에 RxJava를 이용해서 리액티브한 요소를 한 번 집어넣어보면 어떨까해서 소소한 2탄을 준비했다. ㅎㅎ 목표는 EditText의 입력을 RxTextView를 이용해서 Observable로 만들어서 입력에 대한 변화를 관찰하게 만든다. 그 다음 이걸 Disposable과 함께 사용해서 좀 더 리액티브하게, 간단한 코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RxTextView는 EditText를 Observable로 만들어준다.(RxBinding라이브러리에 포함되어 있다.) 2021/02/10 - [안드로이드] - 구글 TTS API를 안드로이드에서 써보기! 구글 TTS API를 안드로이드에서 써보기! TTS란? Text To Sp..
TTS란? Text To Speech의 약자로 텍스트를 음성으로 출력해주는 기술이다. (안드로이드에서는 무료로 제공해준다. 구글 TTS를 내장 API로 지원해주고 있다!) 물론 반대인 STT(Speech To Text)로 지원해준다. 안드로이드에서 TTS 적용해보기 activicy_main.xml MainActivity.java package com.example.tts_test; import androidx.annotation.RequiresApi; import androidx.appcompat.app.AppCompatActivity; import android.os.Build; import android.os.Bundle; import android.speech.tts.TextToSpeech; imp..

지난 포스팅에서는 Rxjava에서 데이터를 발행 및 구독하는 방법을 알아봤다. Rxjava를 안드로이드에 적용시키기 위해서 지금까지 공부했기 때문에 한 번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이용해서 Rxjava를 안드로이드에 적용시켜서 실행할 계획이다! 일단 Rxjava를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build.gradle(:app)에 dependencies에 몇 가지를 추가해줘야 한다. //RxAndroid와 RxJava , RxKotlin 추가 implementation 'io.reactivex.rxjava3:rxandroid:3.0.0' implementation 'io.reactivex.rxjava3:rxjava:3.0.6' implementation 'io.reactivex.rxjava3:rxk..

지난 포스팅에서 RxJava에 대한 개념을 정리했으니 이번에는 본격적으로 코드를 작성해보면서 공부할 예정이다. 일단 RxJava를 위해 알아야 할 것이 5가지 정도 있다. 1. Observable: 데이터 소스 지속적으로 변경이 가능한 데이터의 집합이다. RxJava에서는 Observable을 관찰하는 Observer가 존재하고, Observable이 순차적으로 발행하는 데이터에 대해서 반응한다. 다시말해서 Observer pattern이 구현되어있는 클래스이다. * Observer pattern: 객체의 상태 변화를 관찰하는 관찰자들(옵저버 목록)을 객체에 등록해서 상태 변화가 있을 때 마다 메서드 등을 통해 객체가 직접 목록의 각 옵저버에게 통지하도록 하는 패턴 Observable에는 3가지 이벤트가..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면 RxJava라는 단어를 한 번쯤은 보게 된다. 대체 어떤 상황에서 뭘 위해 쓰는지 공부해보고 싶어 조금씩 알아가려한다!! RxJava를 왜 사용할까? RxJava의 장점이라 하면 개발자들이 부딪힐 수 밖에 없는 문제인 1. 동시성의 문제 2. 다중 이벤트 처리 문제 3. 백그라운드 처리 문제 등의 여러 경우에서 문제를 편리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추가적으로 안드로이드 개발의 경우 화면을 변경할 수 있는 것은 메인 스레드 뿐이기 때문에 비동기 처리를 해야하는 경우가 아주 빈번하다. 이때 Rx를 이용한다면 이 어려운 작업들을 쉽게 할 수 있다. 또 새로운 프로세스가 추가되거나 삭제 되어야 한다면 로직의 큰 변경 없이 간단히 수정할 수가 있다. (아마 이 부분은 Rx가 선언적 ..
[실행 화면] - 코드 깃허브 참고 (https://github.com/hyeals/Webtoon)

- 공공 데이터 포털에서 오픈 API인 주소 기준 동네별 공적 마스크 판매정보 제공 서비스(https://www.data.go.kr/data/15057411/openapi.do)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연습을 할 것 - URL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뜸 - 위 사진에 나와있는 URL 주소에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JSON문서가 나옴 ◎ 여기서 가져올 데이터 목록 address: 주소 count: 조회 데이터 개수 addr: 판매처 주소 name: 판매처 이름 remain_stat: 재고 상태 * json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서 문서 양식 대로하면 됨 -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AndroidManifest.xml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추가함 (인터넷 사용 권한을 허용하는 것) - acti..

- 공공 데이터 포털에서 오픈 API인 충청북도 도시계획 현황 API(https://www.data.go.kr/data/15029351/openapi.do)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연습을 할 것 - URL을 누르게 되면 아래와 같은 창이 뜸 - 아래 사진에 나와있는 요청 주소에 들어가면 - 아래와 같은 XML문서가 나옴 ◎ 여기서 가져올 데이터는 아래와 같음 acceptDate: 접수일 subject: 주제 contents: 내용 title: 제목 * xml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서 태그이름으로 접근하면 됨 -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AndroidManifest.xml에 아래와 같은 코드를 추가함 (인터넷 사용 권한을 허용하는 것) - activity_main.xml의 레이아웃을 디자인함 [..